숨겨진 바위그림의 세계 월간문화재사랑 2010-07-09 오후 03:42 바위그림 발견 40년 올해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천전리 암각화가 발견되고 조사된지 꼭 40년이 되는 해다. 1970년 12월 천전리 암각화의 발견은 당시 주요 일간지 1면에 대서특필될 만큼 전 국민적으로 놀랄만한 사건이었다. 또 일년 뒤 연말 천전리 암각화에서 대곡천 ..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7.15
목질 문화재의 수종분석 [차미영] 문화재칼럼 2010-07-12 오후 04:28 목재는 금속, 석재와는 달리 가볍고, 중량에 비해 높은 강도를 지니며, 비교적 가공하기 쉽고 열 및 전기에 대한 절연효과가 크다. 또한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나타내며 인간에게 친근감을 주는 친환경 소재로 재생 가능한 자원이며 적절한 환경 조건하에서는 장기간 사..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7.15
한 지질학자의 독도 사랑 월간문화재사랑 한 지질학자의 독도 사랑 2010-06-14 오전 09:01 지질학자의 독도 사랑 법 일반적으로 인간이 자연을 사랑할 때는 다양한 이유와 방법이 있다. 독도의 경우, 우리나라 사람들이 독도를 사랑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역사 및 국익과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영토로서의 독도..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7.06
금속활자 공화국, 코리아 월간문화재사랑 2010-06-14 오전 09:01 인류 역사 문명의 창 금속활자 중세유럽, 금속활자 발명가로 알려진 구텐베르크는 일찍부터 성인聖人의 반열에 오를 정도로 존경을 받고 있고 이보다 78년 빠른 고려의 금속활자 발명은 최근 IT·정보 산업의 강국이미지와 함께 지난 20세기말부터 전 세계인들에게 ..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6.29
사적 정비에 따른 정비 기법 [김철주] 문화재칼럼 2010-06-28 오후 06:41 -사적의 표현 기법- 사적 정비에 있어서 표현 기법이란, 사적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잠재화되어 보이지 않게 된 사적의 가치를 눈에 보이는 형태로 알기 쉽게 나타내는 다양한 기법을 말하며, 유적 전시, 유적 표시, 복원의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적 ..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6.29
사적 정비에 따른 정비 기법 [김철주] 문화재칼럼 2010-06-14 오후 05:58 -사적의 보존 기법- 사적의 정비 기법 앞의 칼럼에서는 사적 정비에 대한 이해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몇가지의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본고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사적 정비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사적 정비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사적 정비 기법..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6.23
조선 왕실의 건강법, 식치食治 월간문화재사랑 2010-06-14 오전 09:01 왕의 건강을 책임지는 최고의 의사, 식의食醫 조선의 임금들 중에서 의학에 가장 관심 많았던 왕은 세조였다. 부왕인 세종대왕이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등의 의서를 출간하고 궁중에 의서습독관을 배치하여 의사 교육에 매진하는 등의 의학적 분위기를 체험하여 의..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6.17
왕가의 특별한 놀이 그들의 여가에 대해 이야기 하다 월간문화재사랑 2010-05-12 오전 10:49 격구를 즐긴 정종 “내가 무관의 집에서 자랐기 때문에 산을 타고 물가에서 자며 말을 달리는 것이 습관이 되었으므로, 오래 들어앉아서 나가지 않으면 반드시 병이 생길 것이다. 그래서 격구 놀이를 하여 기운과 몸을 기르는 것이다.”(『정종실록』1399년 3월 13일) ..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6.10
장터의 문화사, 그리고 난장亂場 월간문화재사랑 2010-05-12 오전 10:51 조선후기 장터의 의미 충주를 찾았을 때 장터에서 한 사람을 만났다. 그 노인은 부인이 새재 넘어 경상도 문경 출신이라 하였다. 백두대간을 넘어야 하는 곳이지만, 이전부터 장길을 통하여 왕래하는 일이 빈번한 까닭에, 아는 상인의 소개로 인연을 맺었다고 한다. ..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5.31
시장市場, 그리고 민중의 생활문화 월간문화재사랑 2010-05-12 오전 10:52 장시場市문화에서 시작된 한국 시장의 역사 오늘날 우리의 일상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요람에서 무덤까지 시장과의 소통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시장은 인류의 발자취만큼이나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시장은 먼 옛날 신화시대부터 있어 왔지만, 기록상으로는 ..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