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圓을 품은 우리 그릇의 서정적 향취 작성자 문화재청 작성일 2011-01-19 조회수 109 우리 옛 그릇에 담긴 문화적 의미 그릇은 음식이나 물건 따위를 담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낱말이다. 어원은 알 수 없지만, 우리 옛 분네들이 여러 가지 세간을 ‘그릇붙이’•‘그릇 가지’•‘그릇 벼’라고 한 것으로 미루어 그릇을 살림의 바탕으로 삼..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1.01.24
다방, 100년 전 커피 한 잔의 추억을 더듬다 작성자 문화재청 작성일 2010-10-14 조회수 118 커피를 사랑한 고종과 호텔식 다방 커피가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온 것은 약 1890년 전후로 추정된다. 1895년에 발간된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의하면, 커피는 1890년 경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한다. 특히 고종이 커피를 즐겨 마셨다는 것은 널리..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1.01.13
우리나라 전통 한선韓船의 구조와 조선기술의 발달 월간문화재사랑 2010-12-13 오후 02:24 발달과정으로 보는 한선의 탄생 우리나라 땅에 자리를 잡은 구석기시대 원시인들이 강가나 바닷가로 이동하면서 살기 시작한 때부터 원시적인 배인 통나무 토막의 배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한다. 후에 패총이 만들어지기 시작하게 되었는데 신석기시대 전 ..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12.25
우리 조선기술의 DNA 한선韓船을 말하다 월간문화재사랑 우리 조선기술의 DNA 한선韓船을 말하다 2010-12-13 오후 02:24 여명기의 바닷길 선사시대의 배에 관한 대표적인 유물로 비봉리의 선편과 반구대 암각화를 들 수 있다. 즉, 경남 창령군 비봉리 패총에서 발견된 길이 3.1미터 가량의 선편은 탄소동이원소 조사에 의하면 대략 8천 년 전에 사용..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12.15
역사도시 서울의 근대기 변화 월간문화재사랑 역사도시 서울의 근대기 변화 2010-11-16 오후 02:04 의식의 발굴로 드러날 서울의 참 모습 서울이 갖고 있는 시간의 켜와 공간의 틀은 깊고도 넓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시대의 켜 중 그 모습을 온전하게 드러내고 있는 켜는 조선시대부터지만 조선의 수도로 새 출발하기 이전에 서울은 고..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12.06
젓갈, 토굴에서 태어난 발효음식의 진수 월간문화재사랑 2010-11-16 오후 02:03 젓갈의 유래와 효능 젓갈문화권의 배경은 쌀을 주식으로 하는 곡물문화권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쌀의 성분은 탄수화물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탄수화물을 섭취하고 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소금 속의 나트륨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는 계절 따라 맛을 달리하..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12.06
한 땀의 바느질로 세상을 누비다 월간문화재사랑 한 땀의 바느질로 세상을 누비다 2010-11-16 오후 02:00 검소한 아름다움, 누비 재봉틀이 들어오고 그 속도에 밀려 맥이 끊어진 줄 알았던 누비였다. 눈 떠 있는 시간 대부분을 바느질 하고, 복식유물들을 찾아다니며 전통누비 기법을 재현해 낸 김해자 보유자. “정성을 다하겠다는 마음까..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11.27
숨 쉬는 그릇 옹기, 미래를 담다 월간문화재사랑 숨 쉬는 그릇 옹기, 미래를 담다 2010-10-14 오후 03:10 흙이 살아 있어야 옹기가 숨을 쉰다 우리나라 산과 들은 경작하기에 좋은 토양을 갖고 있어 옹기장이한테는 더 할 나위 없는 보물창고이다. 나지막한 산 아래 비스듬히 누워있는 밭머리 위로 뻘건 속살을 내놓은 자그마한 산언덕이 ..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11.27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세계관 월간문화재사랑 2010-10-14 오후 03:10 화이론華夷論의 문제의식 세계를 중화中華와 이적夷狄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중화를 높이고尊中華 오랑캐를 물리친다攘夷狄는 당위성을 주장하는 화이론은 중국 고대로부터 존재해 온 동아시아의 기본적 세계관 중 하나였다. 이적 즉 오랑캐와 대비되는 중화..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11.14
한국, 세계와 만나다 월간문화재사랑 2010-10-14 오후 03:11 상상 속 하늘과 땅 우리가 우주를 가보지 못했을 때 우주를 상상하듯이 우리 조상들도 하늘과 땅의 모습을 상상하고 또 알아갔다. 동양사회에서 하늘은 인간 세상의 모든 일을 주재하는 인격적인 존재로 여겨졌다. 천체 운행의 이상이나 기상이변 등은 예외 없이 왕..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10.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