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637

숫자로 보는 우리 민족의 삶-‘수는 그 전부다

월간문화재사랑 2009-05-13 오후 04:08 수리數理와 문리文理 그리고 사리事理 한자의 수數는 워낙 ‘삭’이라고 읽는데, 참 묘하게도 사람 머리칼이 산발散髮한 것을 의미했다. 그건 헤아릴 수 없이 많고 많아서‘삭삭數數’이라고 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그걸 한 가닥 한 가닥, 또박 또박 세보고 싶었..

한국건축에 적용된 수數와 도형圖形, 그리고 그 의미

월간문화재사랑 2009-05-13 오후 04:08 건축에 적용된 수數의 상징성 수數는 저마다 다른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 수가 지닌 상징적 의미는 시대와 지역, 그리고 민족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로 변화해왔다. 우리 민족도 다른 민족과 구분되는 수에 대한 관념을 형성해 왔으며, 그러한 수의 상징성이 건축에 ..

한홍구 교수가 쓰는 사법부-회한과 오욕의 역사-한겨레 신문 연재

요즘 사법부 정말 짜증나죠? 도대체 이명박 정권에 와서 왜 과거의 역사를 되 짚어 와야 하는지 역사는 왜 잘못된 방향으로 되풀이 되는것인지 정말 곱씹으며 되새김질 할만하다. 1. 연재를 시작하며 한국 현대사 연구자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가 권위주의 시절 한국 사법부의 부끄럽고 고통스러운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