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에게 윤리를? 최근 카자흐스탄의 국립 박물관 국제공모전에서 Bjarke Ingels Group의 안이 당선되었다. 논란은 이 프로젝트는 현 카자흐스탄 대통령 Nursultan Nazarbayev에 의하여 추진되는 프로젝트이며, 이 정권은 비민주적 정권이라는 비난이 거세다는 것이다. 과연 건축가는 사회 도덕적 책무를 어디까지 지켜야 하느냐.. 건축/건축이야기 2009.09.24
Vulcano Buono Vulcano Buono 이태리 Nola시에 세워진 매우 새로운 건물이다. Renzo Piano가 설계하였으며 분화구 모양의 상업센터로 친환경적 지붕으로 마감되어 있다. 중앙에 150 미터 직경의 공간이 있으며, 내부에는 극장, 시장 등이 들어서 있다. Inhabitat Colossal Green Volcano Building Rises in Italyby Mike Chino, 09/14/09 A jaw-dropping feat .. 건축/건축이야기 2009.09.24
하루에 만드는 로마 디지털 이미지로 도시를 재현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워싱턴대학의 팀은 관광객들이 찍은 수 많은 사진을 이용하여 하루 만에 전 도시를 자동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컴퓨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 팀은 Flicker와 같이 사진을 공유하는 사이트에 수 많은 디지털 사진들을 이용하는 방법.. 건축/건축이야기 2009.09.24
‘100년 고택’ 전주 학인당 다시 문 연다 ‘100년 고택’ 전주 학인당 다시 문 연다 7년간의 보수공사 마치고 100주년 기념 예술제 현대에 맞는 문화공간으로 발돋움 100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우리나라 대표적 고택인 학인당(學忍堂)이 7년 만에 다시 문을 연다. 학인당은 전주 한옥마을의 대표적 고택으로 본채와 뒤채 등의 보수공사가 마..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09.09.22
나무를 만나러 길을 나서다 물푸레나무 월간문화재사랑 2009-09-15 오후 04:23 나무가 있는 풍경 폭우가 쏟아진 다음날이었다. 어제도 나무들은 온몸으로 폭우를 홀로 견뎌냈을 것이다. 하지만 비탈진 면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는 나무들의 안부를 걱정하는 사람이 있었다. 매일 나무를 찾아 길을 나서는 그. 오늘도 어김없이 비가 온 다음날 쏟아..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09.09.22
어바인 등 미국의 신도시개발 사례 어바인 등 미국의 신도시개발 사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시과장 김영진 민간주도 신도시개발 사례와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 및 신생기업 지원환경을 조사하여 혁신도시의 산ㆍ학ㆍ연 클러스터 구축에 반영하고자 미국 어바인 등 신도시에 대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Ⅰ. 조사 개요 ❍ .. 건축/건축이야기 2009.09.09
영국의 첫 조경 벽 죽어가다 영국에서 친환경적 실무로 각광 받던 조경 벽이 죽어가고 있다. 영국 북쪽 Islington에 외벽을 식물로 마감한 건축이 2006년 등장하였다. DSDHA가 설계한 Paradise Park 어린이 센터는 9미터 높이 파사드 철제 매쉬 위에 식물이 자라도록 되어 있었다. 완공 후 녹색으로 친환경적 이미지를 자랑하던 이 벽의 식물.. 건축/건축과 환경 2009.09.09
물 발자국 물 발자국 환경 문제를 측정하는 개념 중 하나로 '탄소발자국 carbon footprint'가 있다. 이와 같은 개념을 원용한 '물 발자국 water footprint'의 개념이 네넬란드 수질 엔지니어 Arjen Hoekstra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그는 각종 제품이 생산되기까지 사용되거나 오염되는 물의 양에 따른 방정식을 마련하였다. 이에 .. 건축/건축과 환경 2009.09.09
[전북문학기행8] 귀소(歸巢)하는 천리물길, 금강 [전북문학기행8] 귀소(歸巢)하는 천리물길, 금강 시도 사랑도 안 되는 날에는 친구야 금강 하구에 가보아라 강물이 어떻게 모여 꿈틀대며 흘러왔는지를 푸른 멍이 들도록 제 몸에다 채찍 휘둘러 얼마나 힘겨운 노동과 학습 끝에 스스로 깊어졌는지를 내 쓸쓸한 친구야 금강 하구둑 저녁에 알게 되리 이..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09.09.09
백운(白雲)아래 시(詩), 그리움 백운(白雲)아래 시(詩), 그리움 진안군 백운면 시인과 작가에게 태어나고 자란 고향의 의미는 다르게 다가온다. 그 곳에서의 삶은 문학의 힘을 일궈내는 동력이 돼 왔고, 문학의 생명을 잇게 한 정신이 됐기에 그들의 고향산천을 돌며 만나는 풀 한 포기나 꽃 한 송이도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 글로써.. 건축/건축과 문화 유산 200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