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건축과 신재생에너지

상업용 발전소를 건립하기 위해서는?

chamsesang21 2010. 9. 14. 18:54

안녕하세요.. ^^

 

카페 운영 목적중 하나가.. 이러한 문의들을 해소하려는 목적이 있는데..

 

전화나 메일, 쪽지로도 같은류의 질문을 많이 받게 됩니다. 카페내의 자료를 조금만 살펴보셔도 해결할 수 있는 의문이

 

아닌가 합니다. 단답형의 답변보다는 스스로 찾아보고 알아보아야 속 시원히 해결될 문제이기도 하지만, 간략히 답변 드립니다.

 

1. 3kw이상의 발전설비여야 '상업용'(판매가능한)발전소가 됩니다.

 

2. 바닥면적만 본다면 대략 6제곱평방미터가 1kw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됩니다.

 

3. 1kw의 설비를 예로 본다면 하루 대략 3.72kw의 전력생산이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1년 평균치)

 

4. 해당 지자체마다 자체규율이 있을 수 있기에 지자체에 '태양광 발전설비'가 가능한지 미리 알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이때 해당 지자체를 방문하셔서 '복합민원신청'을 해보시는 것이 가장 빠르고 정확합니다.

 

5. 수익부분에 있어서는.. FIT에서 RPS제도로-전력 구매(판매)의 방법이-변화하는 시기이기에..

    수익이 얼마다라고 단정할 수가 없습니다. 정책변경에 민감하게 대응하셔야 하기에 사업자 스스로의 준비가 필요합니다.

    또한 앞으로 RPS제도상의 발전소는 '일반부지(논,밭,임야등)'에서의 발전소는 수익률을 책정하기가 매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건물형'(건물 옥상 또는 외벽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태양광 발전소를 구축하셔야 최소한의 수익을 만들어 낼 수 있지

    않을까..하고 생각합니다.

 

추가 : 태양광 발전소를 계획하시는 거의 모든 분들께서 문의하시는 공통된 의문점에 대한 답변

 

 - 태양광 발전소를 하면 정부에서 보조금을 준다면서요?

 

   : 맞는 말이기는 합니다.. 다만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기 위한 초기 투입자금에 대해서는 정부의 무상보조금이 없습니다.

    말 그대로 '상업용'발전소이기에 무상보조는 없다고 생각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내가 장사를 하는데 장사하기위한 초기 자본을 무상으로 준다는 제도는 있을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다만, 발전설비를 완료한 이후에 전력을 판매하는데 있어, 아직은 태양광설비의 투자자본이 일반전력에 비해 많이 들어가기때문에 신,재생에너지를 장려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초기 투입자본을 보존해주고, 최소한의 이익을 실현해 주기 위해서 FIT(발전차액지원제도), RPS(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와 같이 전력구입에 대해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또한 2011년까지의 FIT마감으로 인해(사실상 마감) RPS제도하의 태양광 발전사업을 준비해야 하는 것 입니다.

 

 - 그렇다면 태양광 발전소를 시설하기 위해서는 정부에서 저리융자를 해주지 않나요?

 

 : 2009년도까지는.. 태양광 발전사업자들에 대한 에특자금 (추천자금)이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물론 모두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었고.. 추천받는 분들이 많지도 않았던 것이 사실이지만 그런 제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올해, 2010년 부터 추천자금 공지에 '태양광 발전사업자 제외'라는 문구가 붙어나왔습니다.

 쉽게 풀어서 말씀드리자면.. '에관공에서 태양광 발전사업자에게 지원해주던 저리융자'는 없어졌다고 보시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금융권에서 융자를 하셔야 하는데..  일반사업부지에 융자를 받아 발전설비를 하시는 것은 앞으로 꽤 위험해 보입니다. 건물형 태양광 발전소를 설립하는데는 큰 무리가 없어 보이지만.. 예전처럼 10%, 20%의 자금만 가지고.. 부지가 있으니까

발전사업을 해 보아야 겠다라고 생각하던 시절은 먼 옛날 이야기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 그럼 태양광 발전소를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은가요?

 

 - 앞으로는 건물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입니다. 태양광은 정부계획대로 되더라도 앞으로 꽤 많은 물량을

보급해야 합니다. 지금은 꽤 높은 경쟁률로 RPS에 저가입찰을 하고 있지만, 2012년 부터는 또 어떻게 될지 모르는게 사실입니다.

기존에 소유하고 계신 건물(주택, 상업, 공장)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사업을 하신다면 조금 더 안정적인 사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건물형의 경우 인,허가도 비교적 간단하게 끝낼 수 있기에 미리 준비를 해 두셔도 좋지 않나 싶습니다.

 또한 내년도 발전사업을 RPS로 하시기 위해서는 올해 모든 인,허가를 끝내두셔야 하고, 그러는게 유리합니다. 건물형으로 설비를 하시게 된다면, 최소한의 수익은 보장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위 내용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이며, 틀린부분이 있더라도 너그러이 양해 바랍니다.

또한 관련분야에 대한 어떤의견이든 배우는 입장으로 수용하겠습니다.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