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역사를 간직한 한국의 고인돌 | ||||||||||
고인돌로 대표되는 거석문화는 유라시아 대륙을 감싸고 있는 대양의 인접지역에 주 분포권을 형성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거석문화 중심지역의 하나가 한국으로 알려져 있다. 그 분포 양상을 보면 동북아시아지역이 가장 조밀한 분포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 중 한국이 중심을 이룬다. 한국에는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이 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 탁자식 고인돌은 세계 거석문화의 일반적인 형태지만, 특히 거대한 바둑판식은 한국에서만 보이는 독특한 고인돌 형태이다. 고인돌 안에는 신분 상징물과 내세관을 보여주는 유물이 부장副葬되어 있다. 가장 대표적인 부장유물은 간돌검과 돌화살촉이지만 당시에 희귀하고 특수계층만 사용한 것으로 여겨지는 비파형동검이나 옥도 있다. 부장유물 중 적색마연토기는 재생과 벽사의 의미가 있다. 석검이나 동검은 당시 신분을 상징하는 징표로 내세에까지 그 지위가 이어지라는 의미가 담겨있는 것이다. 불가사의한 고인돌과 축조 당시의 모습을 간직한 고인돌도 있다. 대형 고인돌의 덮개돌 무게는 보통 30∼50톤에 이르며, 심지어 100톤 이상도 있다. 이러한 고인돌은 오늘날 중장비로도 이동하거나 받침돌 위에 올릴 수 없는 규모다. 탁자식과 기반식 고인돌 중에 고도의 기획과 기술로 덮개돌과 받침돌을 균형 있게 배치하여 축조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고인돌도 많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의 고인돌 고창 고인돌은 세계적으로도 가장 조밀한 고인돌 분포 지역으로 한국에서 대표적인 거석문화의 보고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탁자식과 기반식, 개석식 등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을 한곳에서 볼 수 있다는 점도 있다. 특히 고창 고인돌 중 도산리 고인돌은 북한이나 요령지역에서 볼 수 있는 처마가 넓고 덮개돌이 얇은 전형적인 탁자식 고인돌이다. 고창 고인돌의 대부분은 받침돌이 고인 기반식 고인돌이다. 이 기반식들은 덮개돌이 입체화되거나 거석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고인돌 중 기둥모양의 받침돌을 한 기반식 고인돌은 덮개돌이 웅장하고 인위적인 감을 보여주는 것으로 고창 고인돌의 특징적인 요소 중 하나이다. 고창 고인돌에서는 석검 등 부장유물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화순 고인돌은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신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고인돌은 두 마을을 잇는 보검치(보검고개) 양쪽 계곡 10km에 걸쳐 10군에 596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계곡 동쪽 산기슭을 따라 열을 이루면서 무리지어 있다. 강화 고인돌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삼거리, 고천리, 오상리, 교산리에 위치하고 있다. 고인돌은 주로 고려산 북쪽 산기슭에 127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데, 군집을 이루기보다는 곳곳에 산재되어 있다. 강화 고인돌 중 특히 잘 알려진 부근리 탁자식 고인돌은 고려산의 북쪽기슭에 형성된 대지상에 있으며, 남한지방에서 발견된 탁자식 고인돌 가운데 가장 크고 대표적인 것이다. 이 고인돌의 덮개돌 크기는 길이 6.5m, 너비 5.2m, 두께 1.2m로 지상에서의 전체 높이는 2.6m이며, 현재 좌우의 받침돌만 남아 긴 통로처럼 되어 있다. 강화 오상리 고인돌은 발굴 후 정비 복원한 것으로 모두 탁자식 고인돌이다. 여기서 출토된 유물은 간돌검편, 돌칼편 등 석기류와 적색마연토기편 등이 있다. 강화 고인돌의 특징은 탁자식 고인돌의 중심 분포지라는 것이다. 또 하나의 특징은 고인돌의 산등선 입지이다. 일반적으로 고인돌의 입지가 강이나 천변의 평지와 평지보다 높은 대지상의 산기슭이나 구릉상, 고개마루 같은 곳에 있지만 강화 고인돌 중 고천리 고인돌은 산의 정상부 산등성이를 따라 탁자식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영원히 남겨져야 할 역사의 산물 ▶글·사진_ 이영문 목포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 (재)동북아지석묘연구소장 |
'건축 > 건축과 문화 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0) | 2009.01.14 |
---|---|
존경받는 명문가들의 특별한 내력 (0) | 2009.01.14 |
유럽 온실보다 170년이나 앞선 조선초기 온실 -문화재청 뉴스 (0) | 2008.12.19 |
유물과 유적으로 보는 한국 천문학 발달사 -문화재청뉴스 (0) | 2008.12.19 |
조선 건국을 담다 천상열차분야지도-문화재청 뉴스 (0) | 2008.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