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살림 운동은 우리 민족의 자랑스런 문화 유산 입니다.
평법학(平法學)
백제시대에 박사 왕인(王仁)이 왜국에 <논어>, <천자문>과 함께 <평법학>(平法學)을 전했는데, 이 <평법학>에 의해 무술과 함께 인술이 전해졌다는 기록이 일본의 고서 <니혼쇼기>(日本書記)에 남아 있습니다. 현재 일본에서는 ‘도인술'(導引術), ‘정복술'(整復術), ‘이소가이 역학요법' 등의 이름으로 각종 도관(道館)에서 의술이 행해지고 있는데, 여기에 우리 전래인술(仁術)의 일부가 남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도 <도인술>, <이소가이 역학요법> 등의 책으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일본에 남아 있는 인술(仁術)은 고관절과 엉치, 허리 등 우리 몸의 중심의 문제를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카이로프락틱 수준에 머물러 있거나, 고관절의 문제를 일부 이해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바로잡는 방법이 어설플 뿐만 아니라 몸을 전체로서 하나로 보지 못하고 복잡하게 유형화시켰기 때문에 크게 효과가 있는 운동법이 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몸살림운동의 내력
이 인술은 아직 그 연원이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대개 두 가지 경로를 통해서 현재까지 전해져 오고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되고 있습니다. 한 경로는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가 창건된(724년, 통일신라 성덕왕 23년) 이후 어느 시점부터 이 절의 스님들에게 면면히 전승돼 온 것이 아닌가 여겨지고 있습니다.
조선조의 세조(世祖, 재위 1455~1468)가 온몸에 퍼진 종기를 제거하기 위해 전국에 효험이 있다는 곳은 다 찾아서 돌아다녔지만 낫지 못하다가, 결국은 상원사에 가서 불력(佛力)을 빌어 나았다(재위 3년째)는 것은 전설이 아니라 역사적인 사실로 너무나 유명합니다. 이는 세조가 냇물에서 목욕하고 있는 중에 문수 동자보살이 나타나 등을 닦아 주고 나니 씻은 듯이 병이 나았다는 전설로도 전해지고 있는데, 실제로 몸살림운동에서도 큰 피부병은 흉추를 바로잡아 내분비와 면역계통으로 가는 신경을 터 주면 낫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세조의 둘째딸 의숙(懿淑) 공주 부부가 세조 12(1466)년에 이를 기리기 위해 상원사에 기증한 상원사목조문수동자좌상(上院寺木彫文殊童子坐象)은 1984년에 국보 제221호로 지정되기도 했습니다.
또 하나는 민족의 영산 백두산 동남쪽 자락에 무산(茂山)이라는 곳이 있는데, 이곳에서도 이 인술이 전승돼 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무산에 무산신궁(茂山神宮)이라 불리는 곳이 있었는데, 일반 사람들에게는 도를 닦는 사람들이 사는 신비한 곳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렸다고 합니다. 이곳 사람들은 그곳을 스스로 인촌(仁村)이라 불렀는데, 이는 인술을 펴는 사람, 즉 의자(醫者)들이 사는 마을이라는 뜻이었다고 합니다.
'삶 > 자유롭게 쓰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필 미네르바’ 대신 ‘미내르 박’이 왔다 -퍼온글 (0) | 2008.12.03 |
---|---|
고구려 고분벽화와 고대인의 생사관(生死觀) [김진순] (0) | 2008.12.03 |
몸살림운동을 소개합니다. (0) | 2008.11.23 |
모악산의 흉물스런 모습-이제는 없어져야할 것들 (0) | 2008.11.21 |
New light-정말 웃기는 놈들이네 (0) | 2008.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