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8 장 풍수지리 연구과정 제 18 장 풍수지리 연구과정 1. 남쪽으로 설계한 출입문을 동쪽으로 바꿔 달라던 건축주 건축 설계를 하면서 풍수지리와 인연을 맺고 살아온 지 벌써 30여 년이 넘었다. 처음에는 낯설고 신기하게만 여겨졌던 풍수지리의 세계. 그러나 그 신비의 세계를 의심하면서 찾아 들어간 후부터 나는 많은 분들에..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17 장 풍수지리 이론에 따른 명당설계의 실례 제 17 장 풍수지리 이론에 따른 명당설계의 실례 1. 춘천의 한모 씨댁 강원도 춘천시 서면은 예부터 큰 인물이 많이 배출되는 지역으로 유명하다. 서면에 오래 살고 있는 한모 씨 집안은 H농산의 회장을 비롯해 국회의원과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 등 정·재계 인물들이 많이 배출된 집안이다. 필자가 이 ..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16 장 명당 터와 주택의 실례 제 16 장 명당 터와 주택의 실례 1. 인촌 김성수 선생의 생가 인촌 김성수 선생은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을 역임한 정치가로서 재물과 덕망, 정치가로서의 능력을 모두 겸비한 사람이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재물과 관직을 모두 겸비한 것으로 유명하다. 인촌 선생이 태어나고 성장한 전라북도 고창군 ..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15 장 명당형의 표준 주택 구조와 형태 제 15 장 명당형의 표준 주택 구조와 형태 명당은 생기가 많이 모여 있는 공간으로, 자연적인 명당과 건축적인 명당으로 구분된다. 자연적인 명당은 산이나 강, 토질 등의 자연적인 조건에 의해 발생된 명당을 말하고, 건축적인 명당이란 땅의 조건 이외에 사람의 손에 의해 만들어진 여러 가지의 건축 ..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14 장 경복궁 복원과 하느님 숭배사상 제 14 장 경복궁 복원과 하느님 숭배사상 1. 한양의 신성 공간인 경복궁 혁명으로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서기 1392년 7월 17일, 그의 나이 58세 때 개성의 수창궁(壽昌宮)에서 국왕의 자리에 올랐다. 태조는 민심을 수습하고 새로운 국가 기틀을 공고히 하기 위해 과거 세력들이 남아 있는 개성을 피..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13 장 일반 건물 형태의 길흉 제 13 장 일반 건물 형태의 길흉 1. 상가 건물의 풍수 대부분의 상업용 건물은 한 면 이상이 도로에 접해 있으면서, 도로에 접한 벽면에는 유리창을 설치하고 이곳에 물건들을 전시하여 지나는 사람들의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도로에 접한 건물 길이가 길면 쇼윈도를 넓게 만들 수 있고, 전시되는 ..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12 장 아파트 풍수 제 12 장 아파트 풍수 1. 아파트의 허구 도시의 인구 집중, 높은 지가(地價), 편리한 내부 시설, 관리의 편리성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심지어 최근 들어서는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에까지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공간에서 발생하는 기운은 그..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11 장 증축으로 흉가를 명당으로 개조하는 방법 제 11 장 증축으로 흉가를 명당으로 개조하는 방법 집안에 오랫동안 병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있다든가 사업이 부진한 경우, 집안에 불상사가 끊이지 않는 경우, 자녀들의 학업에 문제가 있는 경우 등에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의 구조를 우선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살고 있는 주택의 구조나 방위..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10 장 풍수 인테리어 제 10 장 풍수 인테리어 사람마다 옷 입는 치수가 다른 것은 저마다 몸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집도 마찬가지이다. 넓고 큰 집에 사는 것이 곧 부와 권위를 상징하는 요즘에는 더더욱 자기에게 맞는 집이 필요할 것이다. 풍수적으로 볼 때, 주택의 1인당 적정 면적은 6평이다. 따라서 독신자인 경우..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
제 9 장 배치에 따른 주택의 길흉 제 9 장 배치에 따른 주택의 길흉 창문이나 출입구 등 주택 개구부는 자연의 기운을 내부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자연의 기운은 생명 활동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기운은 사람에게 생기가 된다. 생기는 하늘의 기운과 땅의 기운이 음과 양으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공기 중에서.. 건축/건축과 풍수이야기 2008.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