낫늪·진촌늪 주변에 마구잡이로 쌓아 생태계 위험 오탁방지막 설치 안된 곳 많고 가물막이밖 준설도 | |
![]() |
![]() ![]() ![]()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낙동강 공사 구간에서 시공업체들이 강바닥에서 파낸 준설토를 마구잡이로 쌓아 놓는 바람에 보전가치가 높은 내륙습지가 사라질 위험에 놓인 것으로 환경단체 조사에서 드러났다.
녹색연합과 ‘운하반대 낙동강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는 19일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낙동강 살리기 공사현장을 모니터링한 결과, 불법 준설·매립 등 환경영향평가를 위반한 사례가 속출했다”고 주장했다. 조사결과를 보면, 이 기간 낙동강 32공구(경북 구미), 24공구(경북 칠곡), 18공구(경남 의령)에서 굴삭기가 가물막이 밖에서 강바닥을 긁어내는 현장이 확인됐다. 흙탕물이 강물로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준설작업은 가물막이를 설치한 뒤 그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 또한 수심 2m 이하의 육상준설은 부유 토사물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오탁방지막을 설치해야 하지만, 24공구 제2왜관교의 오탁방지막이 중간에 끊겨 있는 등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곳이 여러 군데 발견됐다고 두 단체가 밝혔다. 준설작업과 연계한 농지리모델링 사업으로 인한 일부 습지의 훼손 가능성도 제기됐다.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발생하는 막대한 준설토는 강 인근의 농지 바닥을 높이는 농지리모델링 사업에 투입된다. 하지만 시공업체가 달성군 낫늪과 진촌늪 가까이에 준설토를 마구잡이로 쌓아 놓고 있어 습지 생태계의 파괴 우려가 크다고 두 단체는 주장했다. 고이지선 녹색연합 자연생태국장은 “농지리모델링 사업으로 주변 농지가 3m 정도 높아지기 때문에 습지가 기능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달성보 근처의 한 습지도 시공업체가 침사지(물을 가두어 물에 섞인 모래나 흙 따위를 가라앉히려고 만든 못)로 이용해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들 습지는 환경부 내륙습지 조사에 포함되는 등 보전가치가 우수하지만, 강에서 1㎞ 떨어진 곳에 있어서 지난해 11월 완료된 4대강 살리기 사업 환경영향평가서에서는 제외됐다. 당시 환경부는 준설토 매립지의 구체적인 위치를 시공업체한테서 제출받지 않고도 환경영향평가 협의를 끝내 부실 평가 논란이 일었다. 녹색연합은 “지난 4월 모니터링에서도 불법공사가 발견돼 국토해양부와 환경부에 시정을 요구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4대강 공사현장의 지도점검을 최소화하라는 정부 방침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
'삶 > 4대강 원상 복구를 바라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한강의 강제로 당하는 수술 (0) | 2010.05.31 |
---|---|
후손에 들려줄 수 없는 ‘들의 노래’ (0) | 2010.05.20 |
4대강서 ‘멸종위기 동물 3종’ 추가 발견 (0) | 2010.05.13 |
하늘에서 본 ‘파계’ [2010.05.07 제809호] (0) | 2010.05.13 |
생태계 ‘자궁’ 들어내려 하는가 (0) | 201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