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건축이야기

물 탄 레미콘은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한다

chamsesang21 2008. 11. 5. 12:49

건축공사 이야기 - 물 탄 레미콘은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한다


레미콘 운반 차량에 「물 타지 맙시다」라고 써 붙이고 다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을 것이다. 누가 누구보고 물 타지 말라는 것인지 헷갈린다. 레미콘에 물 타는 사람은 레미콘 운반 기사이거나 공사 현장 책임자일텐데 건축주 보고 물 타지 말라는 것인지 아리송하다. 비슷하게 주류 운반차량에도 「비과세 주류는 사지도 팔지도 맙시다」라는 문구를 써달고 다니는데 이것도 누구에게 하는 말인지 모르는 일이다.

▶ 물시멘트비란?

콘크리트가 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사용해야 될 물의 양을 정해두고 있다. 이를 물/시멘트 비라 하는데 물과 시멘트의 무게를 백분률로 표현한 것이다.

[표] 물/시멘트비의 최대치(보통 콘크리트 기준)
시멘트의 종류 물시멘트비의 최대값(%)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시멘트 특급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A종
플라이애쉬 시멘트 A종 65
고로슬래그 시멘트 1급
포틀랜드 포졸란 시멘트 B종
플라이애쉬 시멘트 B종 60
* 건축공사표준시방서-보통 콘크리트 공사-표 05010.1


▶ 레미콘에 물을 타는 이유

이처럼 정해진 물시멘트비의 범위 안에서는 반죽이 된 편이다. 된 반죽은 콘크리트를 치기가 매우 불편하다. 펌프 카를 이용하여 고층으로 운송하기도 불편하고, 운송된 콘크리트를 철근과 철근 사이를 고루고루 메우는 진동작업도 여간 힘든 게 아니다. 이를 소홀히 하면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굳고 나면 군데 군데 곰보가 생겨 보기도 싫을 뿐만 아니라 철근이 노출될 정도의 곰보는 구조적인 결함도 초래하기 때문이다. 한 때 물 먹인 소고기 파동을 겪은 적이 있었다. 소고기의 근수를 불리기 위하여 억지로 물을 먹여 도살하는데 이 경우 소고기 근육 속에 스며든 물의 무게를 더하여 폭리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소비자의 입장에선 맛없는 고기를 먹을 수밖에 어쩔 도리가 없게 된다.

건축물과 소고기는 전혀 다르다. 물 먹인 소고기 보다 더 심각하다. 소고기야 먹는 사람만 약간 손해를 보는 것뿐이지만 물먹은 건축물은 안전을 보장 받지 못해 엄청난 사고가 일어난다면 그 피해는 물 먹인 소와 비교할 것이 못된다.

콘크리트는 시간이 지날수록 부피가 줄어든다. 초기상태의 팽창한 부피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어느 정도의 부피가 줄어들 것을 감안하여 설계를 하기 때문에 그리 염려할 것은 못되지만 필요 이상의 수량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리 간단히 생각할 일이 못된다. 보통 콘크리트는 구조적으로 필요한 수량은 35%면 되지만 공사를 원할히 하기 위하여 보통 60%에서 70%까지의 물을 사용하는데 그 이상 사용할 때에는 문제가 된다고 보아야 한다. 콘크리트 속에 포함된 물은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증발하는데 증발하고 난 뒤에는 물이 들어있던 곳은 구멍이 남게 된다. 그 구멍이 과다하게 될 경우 바람든 무우처럼 구조적인 힘을 잃게 되고 그 구멍을 통하여 공기와 빗물이 유입되어 콘크리트 속의 철근을 녹슬게 만든다. 철근에 녹이 슬면 철근의 부피가 팽창해지고 결국엔 콘크리트가 부숴질 수밖에 없다.

골다공증 환자가 뼈에 바람이 들어 잘 부르지는 것처럼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바람이 들었다면 어떤 결과가 초래 되겠는가?

▶ 챙기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공사감리자가 지키고 있지만 일일이 확인하기 전에는 알 수 없다. 온전한 건축물을 얻고 싶다면 적어도 레미콘을 칠 때 현장에 나와 있어야 한다. 건축주가 현장에서 관심을 보인다면 공사 시공자도 건축주를 의식해서 잘 하겠지만 공사 감리자도 더욱 챙길 것이기 때문에 건축주로서는 일거 양득이다.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지식을 자랑하는 것도 좋다. 시공자나 감리자가 함부로 할 수 없을 것이다.